이직 한 회사에서 Ai 코어 측에서 만들어주는 이미지 폴더안에 

이런식으로 폴더가 생성되어있는곳에서 이미지를 조합해서 화면에 표시해줘야하는 작업이 생겼다.

json으로는 좌표를 표시해서 화면에서 해당 좌표에 사각형으로 표시를 해주는 작업이 추가 되었다.

이제 로직을 구현 해볼것이다.

마운티드에 함수 실행 할 부분을 추가 해준다.

const fetchTilesInfo = async (folderPath: string) => {
  const url = `${apiBaseUrl}/folders?folderPath=${folderPath}`;
  const response = await fetch(url);

  if (!response.ok) {
    tileExist.value = false;
    throw new Error('Network response was not ok');
  } else {
    const fileNames = await response.json();
    const tilesInfo = [];
    fileNameResultArr.value = [];
    for (const fileName of fileNames) {
      if (fileName.endsWith('_files')) {

        const fileNameResult = extractSubStringBeforeFiles(fileName);
        fileNameResultArr.value.push(fileNameResult)
        const {width, height} = await dziWidthHeight(fileNameResult)

        tilesInfo.push({
          Image: {
            xmlns: "http://schemas.microsoft.com/deepzoom/2009",
            Url: `${apiBaseUrl}/folders?folderPath=${folderPath}/${fileName}/`,
            Format: "jpg",
            Overlap: "1",
            TileSize: "1024",
            Size: {
              Width: width,
              Height: height
            }
          }
        });

        canvasCurrentWitdh.value = width;
        canvasCurrentHeight.value = height;
      }
    }
    tileExist.value = true;
    return tilesInfo;
  }
};

일단.. 웹 회사에서 근무할 때 선언형(함수형 프로그래밍)을 많이 써왔지만 사이드 이펙트가 발생 할 여지가 있지만  파일 폴더 측에 접근해서 좀 더 직관적인 명령형으로 어떤식으로 흘러가는지 파악하기 위해서 명령형으로 작성해준다. 

 

먼저 백엔드 측에서 이미지를 CDN 방식으로 만들어둔 Api 를 통해서 응답을 받아온다.

응답 값

제대로 담기는 모습을 확인 후 

viewer.value = OpenSeadragon({
        id: "tiling-viewer_img_list",
        animationTime: 0.4,
        navigatorSizeRatio: 0.25,
        showNavigator: true,
        sequenceMode: true,
        defaultZoomLevel: 1,
        prefixUrl: `${apiBaseUrl}/folders?folderPath=D:/UIMD_Data/Res/uimdFe/images/`,
        tileSources: tilesInfo,
        showReferenceStrip: false,
        gestureSettingsMouse: {clickToZoom: false},
        maxZoomLevel: 15,
        minZoomLevel: 1, // 최소 확대 레벨 설정
        zoomPerClick: 1.2, // 클릭 확대 비율 설정
        zoomPerScroll: 1.2, // 스크롤 확대 비율 설정
        viewportMargins: {top: 0, left: 0, bottom: 0, right: 0}, // 뷰포트 여백 설정
        visibilityRatio: 1.0 // 이미지를 뷰포트에 맞추기 위한 비율 설정
      });

위에처럼 작성 후 담아주고 

// 마그니파이어 설정 - 동그라미 줌기능
      new OpenSeadragon.MouseTracker({
        element: viewer.value.element,
        moveHandler: function (event) {
          const existingMagCanvas = document.getElementById('magCanvas');
          if (existingMagCanvas) {
            viewer.value.element.removeChild(existingMagCanvas);
          }

          if (!isMagnifyingGlass.value) {
            return;
          }

          const {canvas} = viewer.value.drawer;
          const magCanvas = document.createElement('canvas');
          const magCtx = magCanvas.getContext('2d');
          canvasOverlay.value = magCanvas;
          if (magCtx) {
            const magWidth = 200;
            const magHeight = 200;
            const zoomLevel = 5;

            magCanvas.id = 'magCanvas';
            magCanvas.width = magWidth;
            magCanvas.height = magHeight;
            magCanvas.style.position = 'absolute';
            magCanvas.style.left = `${event.position.x - magWidth / 2}px`;
            magCanvas.style.top = `${event.position.y - magHeight / 2}px`;
            magCanvas.style.border = '1px solid';
            magCanvas.style.borderRadius = '50%';
            magCanvas.style.width = `${magWidth}px`;
            magCanvas.style.height = `${magHeight}px`;
            magCanvas.style.zIndex = '0';

            viewer.value.element.appendChild(magCanvas);

            // 줌을 위한 확대된 부분을 정확히 잘라내기 위해 drawImage 메서드 수정
            magCtx.drawImage(
                canvas,
                event.position.x - (magWidth / 2 / zoomLevel),
                event.position.y - (magHeight / 2 / zoomLevel),
                magWidth / zoomLevel,
                magHeight / zoomLevel,
                0,
                0,
                magWidth,
                magHeight
            );

            magCanvas.style.visibility = event.position.y <= 0 || event.position.x <= 0 ? 'hidden' : 'visible';
          }
        },
      });
      
      viewer.value.addHandler('open', function (event: any) {
        // 캔버스 크기를 조정
        canvas.width = event.source.Image.Size.Width;
        canvas.height = event.source.Image.Size.Height;
      });

      viewer.value.addHandler('page', function (event: any) {
        const notCanvasClick = fileNameResultArr.value[event.page] !== 'RBC_Image_0';
        emits('notCanvasClick', notCanvasClick);
        // 페이지가 변경될 때 오버레이를 다시 추가
        if (canvas.parentElement !== viewer.value.container) {
          viewer.value.addOverlay({
            element: canvas,
            location: new OpenSeadragon.Rect(0, 0, 1, 1),
          });
        }
        emits('unChecked');
      });
     viewer.value.addHandler('zoom', () => {
        if (activeRuler.value === 'None') {
          return;
        }
        drawRuler(activeRuler.value);
      });
      
      viewer.value.addHandler('canvas-click', async (event: any) => {
      if (!event.originalEvent.ctrlKey) {
          await removeDiv();
        }
        
         const clickPos = viewer.value.viewport.pointFromPixel(event.position);
          const canvasPos = {
            x: clickPos.x * viewer.value.source.width,
            y: clickPos.y * viewer.value.source.height
          };

          // 함수: 클릭 위치가 아이템 위치와 겹치는지 확인
          const isItemSelected = (item: any) => {
            const width = item.width;
            const height = item.height;
            return (
                canvasPos.x >= Number(item.posX) && canvasPos.x <= (Number(item.posX) + width) &&
                canvasPos.y >= Number(item.posY) && canvasPos.y <= (Number(item.posY) + height)
            );
          };

          // 선택된 아이템의 classNm 저장
          let selectItm = '';
          for (const item of drawPath.value) {
            if (item.classNm !== "Normal" && isItemSelected(item)) {
              selectItm = item.classNm;
              break; // 하나의 아이템만 선택됨
            }
          }
          아래 코드는 생략

줌 기능, OPEN , 페이지넘기기, 캔버스 클릭 시 사각형 생성 등등.. 필요한 부분들을 넣어준다.

 

혈액 RBC에는 클래스 리스트에 맞게 체크를 넣어줘야 하므로 watch 로 현재 클릭 되어있는 체크배열을 받아서 그려주는 로직을 추가 해준다. any 가 많은건.. 혼자서 전체 로직을 짜고 데모 버전으로 ㅠ 3개월만에 완성을 시켜야해서 다급하게 하는라 타입을 지정해주지 못했다 ㅠㅠㅠㅠㅠㅠ 따로 추후에 리팩토링 과정을 통해서 전체 수정할 예정이다..!

 

watch(() => props.classInfoArr, (newData) => {
  newItemClassInfoArr.value = newData;

  if (newData.length === 0) {
    removeDiv();
    removeRbcMarker();
    return;
  }

  // 모든 <ol> 요소를 선택하고, data-class-nm 값을 배열로 수집
  const olElements = document.querySelectorAll('ol.overlayElement');

  // newData 배열에서 존재하는 data-class-nm 값을 수집
  const validClassNmSet = new Set(newData.map((el: any) => el.classNm));

  olElements.forEach(el => {
    const classNm = el.getAttribute('data-class-nm');

    // data-class-nm이 newData에 존재하지 않으면 해당 <ol> 요소를 제거
    if (!validClassNmSet.has(classNm)) {
      console.log('Removing <ol> with data-class-nm:', classNm);
      viewer.value.removeOverlay(el);
    }
  });

  // rbcMarker 함수 호출
  rbcMarker(newData);
}, {deep: true});

대략적인 모든 기능을 구현이 완성 된 후 화면은 아래와 같다

 

혼자서...3일안에 완성시킨.. 오픈시드래곤을 활용한 타일화 ! 좀 고생을 많이 했다 오픈시드래곤 공식 문서를 보면서 일일이 다 고치는라 고생한 ... 정말 힘들었다. 추후에 타입추가와 리팩토링을 걸쳐서 수정해야겠다.

오늘 젠킨스에서 개발서버에 배포를 했더니 아래와같은 문제가 발생하였다 무한으로 루프를 도는것처럼... npm install 에서 넘어가질않았다.

 

로그를 확인해본결고 전에는 없던 경고가 생겨있엇다.

 

대충 이런 경고문들이 뜬후 진전이 없는 모습을 보게되었다.

버전이 맞지 않거나 변경되었다는 말이었다.

 

무한루프에 빠진것은 어쩌면 아래에 npm install 부분이 문제로 보였다.

npm dependencies 의존성에서 협업을 진행중에 서로 다른 npm 을 설치하다보면 node_modules 만 설치하고 

package.josn 에서는 빠진 부분들이 있어서 생기는 문제로 보여

npm install 로만 적혀있던부분을 -> npm install --save 로 변경하였다.

협업을 진행하는 중이라면 npm install --save 로 진행을 하는게 좋다.

npm 5 버전 이상은 자동으로 된다고 하던데... 혹시몰라서 진행을 했더니

배포도 말끔하게 잘되었다.

 

오늘은 nginx 웹 서버를 셋팅하는 작업을 진행 할거다!

nginx 에대한 기본 설명을 좀 하고 셋팅 과정을 천천히 진행해보자!

 

nginx 는 아파치와 같은 웹서버중 하나이며, 가볍고 여러요청을 한번에 처리가 가능한 장점을 가진 웹서버이다.

동작이 단순하고 전달자 역할만 해서 동시접속에 특화가 되어있다! 구동방식은 event driven (비동기처리방식)인데

요청이 들어올시 어떤 동작을 해야하는 지만 알려주고 다른 요청을 처리하는 방식이다.

cpu와 관계없이 모든 입출력들을 전부 이벤트 리스너로 전달하기 때문에 흐름이 끊기지 않고 응답이 빠르게 진행되어 1개의 프로세스로 보다 더빠른 작업을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웹서버는 무엇이냐? 

웹서버의 역할은 html, css 자바스크립트, 이미지 와 같은 정적인 정보를 사용자 에게 전송해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리버스 프록시의 역할도 한다! 리버스 프록시는 기존의 포워드 프록시가 클라이언트 앞단에서 요청을 처리한다면, 내부망의 서버 앞단에서 요청을 처리하는데 이 리버스 프록시의 장점은 보안에 강점이 있기 때문이다. was 웹어플리케이션 서버는 대부분 db서버와 연결되어있다. was 가 최전방에 있으면 보안에 취약해진다. 

위 그림처럼 바로 디비랑 연결이 되어있어서 보안이 매우 취약 한데 여기서 웹서버 인 nginx 를 두면 웹서버가 웹어플리케이션 서버랑 통신해서 결과를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면 보안에 취약점을 잡을 수있다.! 서론이 너무 길었다 이제 셋팅을 해보도록 하겟다.

 

터미널을 킨 후 ssh로 개발 서버로 진입

비번을입력 후

NGINX.CONF 파일 찾아내는 명령어 -> sudo find / -name nginx.conf

터미널창에 입력해준다.( nginx 를 이미 개발서버에 설치 한 과정에서 설명)

찾은 후에 

  • 보통 /etc/nginx/* 아래에 설정파일이 위치해있고, 로그파일은 /var/log/nginx/* 에 위치해있다.

ls 로 항목들을 보면 

Nginx.conf(접속자 수, 동작 프로세스 수 등 퍼포먼스에 관한 설정들)

Sites-enabled( 활성화된 사이트들의 설정 파일들이 위치한다. 존재 하지 않은 경우 직접 디렉토리 생성 가능)

등등 이 있다 우선 우리는 

Sites-available ( 설정을 저장하는 곳이다. 여기에 설정을 만든 것은 실제로 nginx에 반영되지는 않습니다. 반영하기 위해서는 sites-enabled에 설정파일을 복사 또는 심볼릭링크를 걸어준다.)

 

nginx의 폴더 안을 들여다 보면 sites-available과 sites-enabled라는 폴더가 존재한다. 이 폴더들은 한 웹서버에서 여러가지 웹 서비스를 다른 도메인으로 운영 할 때를 대비해서 있는 폴더라고 이해하면 된다.

sites-available에는 각 도메인의 고유 설정 파일을 저장 해 두고, sites-enabled에 심볼릭 링크를 작성 혹은 삭제 함으로서 손쉽게 웹 서비스를 실행 혹은 중단 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등등으로 이해하고 vim 을 사용하여 

Nginx 가상서버 파일 작성

nginx.conf vim으로 수정하기(메인 설정 파일)

user  nginx;
worker_processes  1;

error_log  /var/log/nginx/error.log warn;
pid        /var/run/nginx.pid;


events {
    worker_connections  1024;
}

http {
  include    mime.types;

  server {
        listen  8000;

        server_name tmng.tablenjoy.com;

        location @rewrites {
                rewrite ^(.+)$ /index.html last;
        }

        index index.html;

      #charset koi8-r;
      #access_log  logs/tadmin_html/host.access.log  main;
      #root /home/dev/hitable2020-frontend-manager/dist;

      location / {
        root    /home/dev/hitable2020-frontend-manager/dist;
        index   index.html;
        try_files $uri $uri/ @rewrites;
       }
    }

    server {
                listen 8003;
                listen [::]:8003;
                server_name tapi.tablenjoy.com;

                ssl on;
                ssl_certificate /home/dev/인증서/star_tablenjoy_com/star_tablenjoy_com.crt;
                ssl_certificate_key /home/dev/인증서/star_tablenjoy_com/star_tablenjoy_com.key;
                ssl_prefer_server_ciphers on;
                error_page 497 https://$host:8003$request_uri;
                location / {
                        add_header 'Access-Control-Allow-Origin' '*';
                        add_header 'Access-Control-Allow-Credentials' 'true';
                        add_header 'Access-Control-Allow-Headers' 'Authorization,Accept,Origin,DNT,X-CustomHeader,Keep-Alive,User-Agent,X-Requested-With,If-Modified-Since,Cache-Control,Content-Type,Content-Range,Range';
                        add_header 'Access-Control-Allow-Methods' 'GET,POST,OPTIONS,PUT,DELETE,PATCH';

                        if ($request_method = 'OPTIONS') {
                                add_header 'Content-Type' 'text/plain charset=UTF-8';
                                add_header 'Content-Length' 0;
                                return 204;
                        }
                        proxy_redirect off;
                        proxy_set_header Host $http_host;
                        proxy_set_header Connction "";
                        proxy_set_header X-forward-for $proxy_add_x_forwarded_for;
                        proxy_pass http://127.0.0.1:8080;
                }

        }

    server {
        listen  8002;

        server_name tmng.tablenjoy.com;
        ssl on;
        ssl_certificate /home/dev/인증서/star_tablenjoy_com/star_tablenjoy_com.crt;
        ssl_certificate_key /home/dev/인증서/star_tablenjoy_com/star_tablenjoy_com.key;
        ssl_prefer_server_ciphers on;

        location @rewrites {
                rewrite ^(.+)$ /index.html last;
        }

        index index.html;

      #charset koi8-r;
      #access_log  logs/tadmin_html/host.access.log  main;

      location / {
        root    /home/dev/hitable2020-frontend-brand-admin/dist;
        index   index.html;
        try_files $uri $uri/ @rewrites;
       }
    }

    server {
        listen  8005;

        server_name tmobile.hi-table.com;

        location @rewrites {
                rewrite ^(.+)$ /index.html last;
        }

        index index.html;

      #charset koi8-r;
      #access_log  logs/tmobile_html/host.access.log  main;

      location / {
        root    /home/dev/hitable2020-frontend-store-manager/dist;
        index   index.html;
        try_files $uri $uri/ @rewrites;
       }
    }

        server {
                listen 7400;
                listen [::]:7400;
                server_name tapi.tablenjoy.com;

                ssl on;
                ssl_certificate /home/dev/인증서/star_tablenjoy_com/star_tablenjoy_com.crt;
                ssl_certificate_key /home/dev/인증서/star_tablenjoy_com/star_tablenjoy_com.key;
                ssl_prefer_server_ciphers on;
                error_page 497 https://$host:7400$request_uri;
                location / {
                        add_header 'Access-Control-Allow-Origin' '*';
                        add_header 'Access-Control-Allow-Credentials' 'true';
                        add_header 'Access-Control-Allow-Headers' 'Authorization,Accept,Origin,DNT,X-CustomHeader,Keep-Alive,User-Agent,X-Requested-With,If-Modified-Since,Cache-Control,Content-Type,Content-Range,Range';
                        add_header 'Access-Control-Allow-Methods' 'GET,POST,OPTIONS,PUT,DELETE,PATCH';

                        if ($request_method = 'OPTIONS') {
                                add_header 'Content-Type' 'text/plain charset=UTF-8';
                                add_header 'Content-Length' 0;
                                return 204;
                        }
                        proxy_redirect off;
                        proxy_set_header Host $http_host;
                        proxy_set_header Connction "";
                        proxy_set_header X-forward-for $proxy_add_x_forwarded_for;
                        proxy_pass http://127.0.0.1:3000;
                }

        }

        server {
                listen 8001 default_server;
                listen [::]:8001 default_server;
                server_name _;



                ssl on;
                ssl_certificate /home/dev/인증서/star_tablenjoy_com/star_tablenjoy_com.crt;
                ssl_certificate_key /home/dev/인증서/star_tablenjoy_com/star_tablenjoy_com.key;
                ssl_prefer_server_ciphers on;
                location / {
                        add_header 'Access-Control-Allow-Origin' '*';
                        add_header 'Access-Control-Allow-Credentials' 'true';
                        add_header 'Access-Control-Allow-Headers' 'Authorization,Accept,Origin,DNT,X-CustomHeader,Keep-Alive,User-Agent,X-Requested-With,If-Modified-Since,Cache-Control,Content-Type,Content-Range,Range';
                        add_header 'Access-Control-Allow-Methods' 'GET,POST,OPTIONS,PUT,DELETE,PATCH';

                        if ($request_method = 'OPTIONS') {
                                add_header 'Content-Type' 'text/plain charset=UTF-8';
                                add_header 'Content-Length' 0;
                                return 204;
                        }

                        proxy_redirect off;
                        proxy_set_header Host $http_host;
                        proxy_set_header X-real-ip $remote_addr;
                        proxy_set_header Connction "";
                        proxy_set_header X-forward-for $proxy_add_x_forwarded_for;
                        proxy_pass http://127.0.0.1:3000;
                }
        }

}

                                                                                                                                                                                                                                                                                                                                                          113,0-1       23%

listen 은 port 설정 하는 부분이다. 기본 포트는 80

root는 document root 설정 하는 부분 디폴드 는 html 디렉토리.

proxy_pass 설정은 nginx 뒷 단에 was 가 존재하는 경우이며, 확장자 기반으로 요청 처리를 분리하는 것 location /  이렇게 되어있으면 127.0.0.1:3000 으로 넘기는것이다.

server_name 도메인이름 처럼 바꿔주게 되는데 방문자가 어떤 주소로 들어오냐에따라 해당 도메인 이름을 가진 server{...} 블록이 처리한다.

 

- http 블록

http 블록은 server, location 블록을 포함한다. http 블록을 여러개 생성하여 관리할 수 있지만, 권장사항은 아니다.(권장사항은 http 블록을 하나만 생성하는 것) (oop 상위 클래스 개념으로 생각하면 쉽다.)

 

-서버 블록

- 하나의 웹사이트를 선언하는 데 사용된다. 가상 호스팅(Virtual Host)의 개념이다.

 

- location 블록

서버의 하위단 블록으로 특정 경로, 즉 특정 url을 처리하는 단위이다.

예를 들어  개발 소개 블로그 (www.dev.com) 에서

www.dev.com/nginx   (nginx를 소개하는 카테고리) 

www.dev_moster.com/apache (apache를 소개하는 카테고리)

로 나누고 싶을때 사용할 수 있다.

 

- events 블록

http, server, location 블록과 엮이지 않고 독립적은 블록이다.

주로, 네트워크 동작 방법을 설정한다. 

예를 들어 

events {

worker_connections 100;

}

이렇게 worker_connections 을 100으로 설정하면,

이 웹서버에 한번에 최대 100명이 동시에 접근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ssl 부분은 도메인 인증서, 체인 인증서, 루트 인증서를 발급 완료받은걸 서버에 업로드한다. 그 경로를 적어주면 연결된다.!

ssl_certificate /root/ssl/nginx-ssl.crt;
ssl_certificate_key /root/ssl/nginx-ssl.key;

위에처럼 위치를 지정해주면 된다.

추가적으로 http 로 접속 시 https 로 리다이렉트 하는 부분은 아래와 같이 코드를 추가하면된다.

    return 301 https://$host$request_uri;

아래 리스타트 명령어로 재실행 시킨다.

sudo systemctl restart nginx

site available 에서 설정파일 추가

server {
        listen 80 default_server;
        listen [::]:80 default_server;

        # SSL configuration
        #
        # listen 443 ssl default_server;
        # listen [::]:443 ssl default_server;
        #
        # Note: You should disable gzip for SSL traffic.
        # See: https://bugs.debian.org/773332
        #
        # Read up on ssl_ciphers to ensure a secure configuration.
        # See: https://bugs.debian.org/765782
        #
        # Self signed certs generated by the ssl-cert package
        # Don't use them in a production server!
        #
        # include snippets/snakeoil.conf;

        root /var/www/html;

        # Add index.php to the list if you are using PHP
        index index.html index.htm index.nginx-debian.html;

        server_name _;

        location / {
                # First attempt to serve request as file, then
                # as directory, then fall back to displaying a 404.
                try_files $uri $uri/ =404;
        }

        # pass PHP scripts to FastCGI server
        #
        #location ~ \.php$ {
        #       include snippets/fastcgi-php.conf;
        #
        #       # With php-fpm (or other unix sockets):
        #       fastcgi_pass unix:/var/run/php/php7.0-fpm.sock;
        #       # With php-cgi (or other tcp sockets):
        #       fastcgi_pass 127.0.0.1:9000;
        #}

        # deny access to .htaccess files, if Apache's document root
        # concurs with nginx's one
        #
        #location ~ /\.ht {
        #       deny all;
        #}
}

server {
    listen 8005;
    listen [::]:8005;

    root /home/dev/hitable2020-frontend-manager/dist;
    index index.html index.htm;
    location / {
       try_files $uri $uri/ /index.html;
    }
}

server {
        listen 8001 ssl;

        root /var/www/html;
        index index.html index.htm;
        server_name _;

        location / {
                try_files $uri $uri/ =404;
        }

        location ~/.well-known {
                allow all;
        }
}

여기서 심볼릭 링크를 걸어줘야한다 site-adailable/ 에서 만든 사이트를 site-enabled/에 추가해야 활성화가 된다.

site-adailable/ 에 추가한 사이트를 site-enabled/에 심볼릭 링크하여 사이트를 활성화 할 수 있다.

심볼릭 링크랑 윈도위의 바로가기이다.

 

site-enabled 추가

#
# In most cases, administrators will remove this file from sites-enabled/ and
# leave it as reference inside of sites-available where it will continue to be
# updated by the nginx packaging team.
#
# This file will automatically load configuration files provided by other
# applications, such as Drupal or Wordpress. These applications will be made
# available underneath a path with that package name, such as /drupal8.
#
# Please see /usr/share/doc/nginx-doc/examples/ for more detailed examples.
##

# Default server configuration
#
server {
        listen 80 default_server;
        listen [::]:80 default_server;

        # SSL configuration
        #
        # listen 443 ssl default_server;
        # listen [::]:443 ssl default_server;
        #
        # Note: You should disable gzip for SSL traffic.
        # See: https://bugs.debian.org/773332
        #
        # Read up on ssl_ciphers to ensure a secure configuration.
        # See: https://bugs.debian.org/765782
        #
        # Self signed certs generated by the ssl-cert package
        # Don't use them in a production server!
        #
        # include snippets/snakeoil.conf;

        root /var/www/html;

        # Add index.php to the list if you are using PHP
        index index.html index.htm index.nginx-debian.html;

        server_name _;

        location / {
                # First attempt to serve request as file, then
                # as directory, then fall back to displaying a 404.
                try_files $uri $uri/ =404;
        }

        # pass PHP scripts to FastCGI server
        #
        #location ~ \.php$ {
        #       include snippets/fastcgi-php.conf;
        #
        #       # With php-fpm (or other unix sockets):
        #       fastcgi_pass unix:/var/run/php/php7.0-fpm.sock;
        #       # With php-cgi (or other tcp sockets):
        #       fastcgi_pass 127.0.0.1:9000;
        #}

        # deny access to .htaccess files, if Apache's document root
        # concurs with nginx's one
        #
        #location ~ /\.ht {
        #       deny all;
        #}
}

server {
    listen 8005;
    listen [::]:8005;

    root /home/dev/hitable2020-frontend-manager/dist;
    index index.html index.htm;
    location / {
       try_files $uri $uri/ /index.html;
    }
}

server {
        listen 8001 ssl;

        root /var/www/html;
        index index.html index.htm;
        server_name _;

        location / {
                try_files $uri $uri/ =404;
        }

        location ~/.well-known {
                allow all;
        }
}
# Virtual Host configuration for example.com
#
# You can move that to a different file under sites-available/ and symlink that
# to sites-enabled/ to enable it.
#

conf.d 폴더

  • nginx.conf에서 include로 불러올 수 있는 conf 파일 저장 폴더.

 

server {
    listen       80;
    server_name  localhost;

    #charset koi8-r;
    #access_log  /var/log/nginx/host.access.log  main;

    location / {
        root   /usr/share/nginx/html;
        index  index.html index.htm;
    }

    #error_page  404              /404.html;

    # redirect server error pages to the static page /50x.html
    #
    error_page   500 502 503 504  /50x.html;
    location = /50x.html {
        root   /usr/share/nginx/html;
    }

    # proxy the PHP scripts to Apache listening on 127.0.0.1:80
    #
    #location ~ \.php$ {
    #    proxy_pass   http://127.0.0.1;
    #}

    # pass the PHP scripts to FastCGI server listening on 127.0.0.1:9000
    #
    #location ~ \.php$ {
    #    root           html;
    #    fastcgi_pass   127.0.0.1:9000;
    #    fastcgi_index  index.php;
    #    fastcgi_param  SCRIPT_FILENAME  /scripts$fastcgi_script_name;
    #    include        fastcgi_params;
    #}

    # deny access to .htaccess files, if Apache's document root
    # concurs with nginx's one
    #
    #location ~ /\.ht {
    #    deny  all;
    #}
}

좀더 디테일하게 하고 싶으면 검색을 하면서 추가적으로 셋팅을 더넣으면 될것같다 내부아이피로 포트를 타면 페이지가 잘뜨는것을 확인할수있다~ 내부아이피타임으로 설정은 추가적으로 들어가면 내부에서 와이파이가 연결되어있을경우에만 회사에서 사용가능한 개발서버가 열린다~

 

101 번서버에 추가적으로 nginx 가 잘연결됐다.

'DevOps > ngin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개의 서버 설정 - Local 윈도우 기준  (0) 2024.08.27

회사에서 카카오페이를 사용자사이트에 연결해달라는 요청이 들어왔다~

카카오페이를 연동하는 방법에 대해서 간략하게 일기를 쓸예정이다!

 

카카오페이 개발 참고페이지

- 카카오페이 개발API : https://developers.kakao.com/docs/latest/ko/kakaopay/common
- 카카오페이 데모 : https://developers.kakao.com/demo/pay/index
- 응답코드 : https://developers.kakao.com/docs/latest/ko/reference/rest-api-reference

 

필요한 디렉터리 파일

pages/buy/kakaopay/failPage.vue // 카카오페이 실패일 경우

pages/buy/kakaopay/index.vue // 승인요청에 대한 처리 로직, 클래스 등 필요한 로직 처리

pages/buy/index.vue // 결제페이지

 

api 로직 디렉터리

common/api/service/payment/kakaopay/KakaoPayApi.ts // 카카오페이 api 로직

common/api/service/payment/kakaopay/dto/kakaoPayReadyDto.ts // 카카오페이 준비 dto 

common/api/service/payment/kakaopay/dto/kakaoPayCompleteDto.ts // 카카오페이 승인요청완료 dto

 

부수적으로 필요한 ts파일은 생략하겟습니당.!

 

먼저 결제 페이지인 pages/buy/index.ts 에서

주문대기 생성을 하여 order 쪽 백엔드쪽에서 요청을 실행하고 나면 주문번호가 생성이 된다.

그후에 카카오페이를 선택 했을 시에 일어나는 로직을 만들도록 하자!

 

buy/index.ts 에서 결제방법은 컴포넌트로 새로 만들어서 분기처리해준다.

components/views/buy/PaymentMethod.vue 에 결제방법 UI를 생성 시켜준다.

카카오페이에서 제공하는 이미지를 사용하여 해당 UI를 만들어준다.

회사 기획서에 맞게 페이에이전트타입으로 분리하여 그려준다.

대략 이런식으로 만든 후

 

pages/buy/index.vue 로 이동한다.

대기주문을 생성이 완료된후 로직을 탈수있게 코드를 짜준다.

 

proceedPayment 함수를 호출하면 아래와 같은 코드를 삽입

proceedPayment 안에 중간 내용 페이먼트 에이전트 타입에 따른 실행 코드 생성

setorderno를 만든이유는 카카오페이는 자신들의 페이지로 이동을 하고있다.

그러면 페이지간 이동이 일어나서 전에 내가 store 에서 저장했던 내용들이 날라간다.

그래서 그앞단인 buy 페이지에서 미리 세션스토리지에 값을 가지고 있기로 해서 위와 같이 만들었다.

 

카카오페이에서는 리다이렉트 url을 3개를 받고있는 이유이다.  아래 카카오페이에서 보여주는 예시를 보면

요런식으로 응답값을 준다. 위에 값은 우리회사 백엔드 개발자가 준다고 하니 나는 거기에 맞는 처리를 진행하였다.

하이브리드 웹이라서 웹뷰로 모바일까지 진행하고있다보니 안드로이드나 ios에 대한 처리는 따로 하지않았다!

회사 규격에 맞게 셋팅에 맞게 하면 된다고 보여진다.

 

kakaoPayReadyDto.ts



export interface kakaoPayReadyResponseDto{
  tid: string;
  // eslint-disable-next-line camelcase
  next_redirect_pc_url: string;
  // eslint-disable-next-line camelcase
  next_redirect_app_url:string;
  nextRedirectMobileUrl: string;
  createdAt: string;
}

export interface kakaoPayApproveRequestDto{
  tid: string;
  orderId: string;
  pgTocken: string;
  totalAmount: number;
}

export interface  kakaoPayReadyRequestDto {
  orderNumber: string;
  goodsName: string | undefined;
  buyerName: string;
  buyerPhone: string;
  paymentAmount: string;
  paymentMethod: string;
  paymentAgentType: string;
  approvalUrl: string;
  cancelUrl: string | null;
  failUrl:string | null;
  quantity: number;
  buyerEmail: string;
  pointAmount: string;
  couponNumber: string | null ;
}

export class kakaoPayReadyUtils {
  static createDto(
    orderNumber: string,
    goodsName: string,
    buyerName: string,
    buyerPhone: string,
    paymentAmount: string,
    paymentMethod: string,
    paymentAgentType: string,
    approvalUrl: string,
    cancelUrl: string | null,
    failUrl: string | null,
    quantity: number,
    buyerEmail: string,
    pointAmount: number,
    couponNumber: string | null ,
                   ) : kakaoPayReadyRequestDto{
      return {
        orderNumber,
        goodsName,
        buyerName,
        buyerPhone,
        paymentAmount,
        paymentMethod,
        paymentAgentType,
        approvalUrl,
        cancelUrl,
        failUrl,
        quantity,
        buyerEmail,
        pointAmount: pointAmount > 0 ? String(pointAmount) : '',
        couponNumber,
      };
  }

  static errMessage(errMsg: string){
    let newStr = '';
    switch (errMsg) {
      case '400':
        newStr  = '요청한 파라미터값이 잘못되었습니다.';
        break;
      case '701':
        newStr  = '결제 인증이 완료되지 않았습니다.';
        break;
      case '702':
        newStr = '이미 결제 완료된 결제건 입니다.';
        break;
      case '703':
        newStr = '결제 포인트 금액이 잘못됐습니다.';
        break;
      case '704':
        newStr = '결제 금액이 잘못됐습니다.';
        break;
      case '705':
        newStr = '지원하지 않는 결제 수단입니다.';
        break;
      case '706':
        newStr = '주문번호와 다른 값으로 API 출했습니다.';
        break;
      case '707':
        newStr = '결제 준비 API에서 요청한 partner_user_id와 다른 값으로 결제승인 API 호출 했습니다.';
        break;
      case '708':
        newStr = '잘못된 pg_token로 결제승인 API를 호출했습니다.';
        break;
      case '710':
        newStr = '결제 취소 API 호출 시 취소 요청 금액을 취소 가능액보다 큰 금액으로 요청했습니다.';
        break;
      case '721':
        newStr = 'TID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break;
      case '722':
        newStr = '금액 정보가 잘못된 경우';
        break;
      case '723':
        newStr = '결제 만료 시간이 지났습니디.';
        break;
      case '724':
        newStr = '단건 결제 금액이 잘못되었습니다.';
        break;
      case '725':
        newStr = '총 결제 금액이 잘못되었습니다.';
        break;
      case '726':
        newStr = '주문 정보가 잘못되었습니다.';
        break;
      case '730':
        newStr = '가맹점 앱 정보가 잘못되었습니다.';
        break;
      case '731':
        newStr = 'CID 가 잘못됐습니다.';
        break;
      case '732':
        newStr = 'GID 가 잘못됐습니다.';
        break;
      case '733':
        newStr = 'CID_SECRET이 잘못됐습니다.';
        break;
      case '750':
        newStr = 'SID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break;
      case '751':
        newStr = '비활성화된 SID로 정기결제 API를 호출했습니다.';
        break;
      case '752':
        newStr = 'SID가 월 최대 사용 회수를 초과했습니다.';
        break;
      case '753':
        newStr = '정기 결제 API 호출 시 partner_user_id가 SID를 발급받았던 최초 결제 준비 API에서 요청한 값과 다릅니다.';
        break;
      case '761':
        newStr = '입력한 전화번호가 카카오톡에 가입하지 않았습니다.';
        break;
      case '780':
        newStr = '결제 승인 API 호출 실패';
        break;
      case '781':
        newStr = '결제 취소 API 호출 실패';
        break;
      case '782':
        newStr = '정기 결제 API 호출 실패';
        break;
      case '783':
        newStr = '승인 요청을 할 수 없는 상태에서 결제 승인 API를 호출';
        break;
      case '784':
        newStr = '취소 요청을 할 수 없는 상태에서 결제 취소 API를 호출';
        break;
      case '785':
        newStr = '결제와 취소를 중복으로 요청';
        break;
      case '797':
        newStr = '1회 결제 한도 금액을 초과했습니다.';
        break;
      case '798':
        newStr = '허용되지 않는 IP를 사용하셧습니다.';
        break;
      case '799':
        newStr = '등록된 웹사이트 도메인의 설정과 요청 도메인이 다릅니다.';
        break;
    }
    return newStr;
  }
}

 

kakaoPayApi.ts

 

카카오페이 요청 dto를 만들어주고 try 문에 다가

pc 일떄와 모바일때를 분리하여 백엔드에서 던져주는 url로 카카오페이로 페이지 이동을 시킨다~

 

사용자 페이지로 이동하여 현재까지 잘되었는지 테스트를 해본다!

아래는 카카오페이지 이동 후 화면이다.

위에 창도 잘뜨는건 확인 했으니 네트워크를 열어서 요청값들이 잘넘어갔는지도 확인을해준다.

 

내가 셋팅한것처럼 완료,실패,사용자취소 url 도 잘 셋팅이 되어서 넘어가있다!

사용자 취소 부분도 잘되는지 확인 해보자

우리 회사 기획서 상 결제페이지에 남아있지않도록하고 (중복결제에대한 문제점을 생각하셔서 그렇게 한것같다.) 매장이나 상품페이지로

이동하도록 기획을 하셧다.

 

위에 얼럿은 미리 내가 코딩을 해서 페이지 이동시 시스템 얼럿창이 뜨도록 설계를 하였다.

자 이제 승인요청 완료 부분이다!

 

kakaoPayCompleteDto.ts

export interface KakaoCompleteRequestDto {
  tid: string | null;
  orderNumber: string;
  pgToken: string;
  payType: string;
  paymentMethod: string;
}

export class KakaoPayCompleteRequestDtoUtils {
  static createDto(tidNo: string | null, orderNum: string, pgTokenStr: string, payTypeStr: string): KakaoCompleteRequestDto {
    return {
      orderNumber: orderNum,
      tid: tidNo,
      pgToken: pgTokenStr,
      payType: payTypeStr,
      paymentMethod: 'KAKAOPAY'
    };
  }
}

export interface KakaoCompleteResponseDto {
  data: {
    aid: string;
    tid: string;
    cid: string;
    // eslint-disable-next-line camelcase
    partner_order_id: string;
    // eslint-disable-next-line camelcase
    partner_user_id: string;
    // eslint-disable-next-line camelcase
    payment_method_type: string;
    amount:{
      total: number;
      // eslint-disable-next-line camelcase
      tax_free: number;
      vat: number;
      point: number;
      discount: number;
      // eslint-disable-next-line camelcase
      green_deposit: number;
    };
    cardInfo:{
      // eslint-disable-next-line camelcase
      purchase_corp: string;
      // eslint-disable-next-line camelcase
      purchase_corp_code: string;
      // eslint-disable-next-line camelcase
      issuer_corp: string;
      // eslint-disable-next-line camelcase
      issuer_corp_code: string;
      // eslint-disable-next-line camelcase
      kakaopay_purchase_corp: string;
      // eslint-disable-next-line camelcase
      kakaopay_purchase_corp_code: string;
      // eslint-disable-next-line camelcase
      kakaopay_issuer_corp: string;
      // eslint-disable-next-line camelcase
      kakaopay_issuer_corp_code: string;
      bin:string;
      // eslint-disable-next-line camelcase
      card_type: string;
      // eslint-disable-next-line camelcase
      install_month: string;
      // eslint-disable-next-line camelcase
      approved_id: string;
      // eslint-disable-next-line camelcase
      card_mid: string;
      // eslint-disable-next-line camelcase
      interest_free_install: string;
      // eslint-disable-next-line camelcase
      card_item_code: string;
    };
  }
}

 

 

2탄에서 계속!

+ Recent posts